맨위로가기

단순 기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순 기계는 인류가 선사 시대부터 사용해 온 도구로, 물리적인 힘을 전달하는 장치의 기본 원리이다. 아르키메데스는 레버, 도르래, 나사 등의 단순 기계를 연구하며 기계적 이점의 개념을 발견했고, 르네상스 시대에는 일의 개념과 연결되어 연구되었다. 지레, 빗면, 도르래, 축바퀴, 나사, 쐐기 등이 있으며, 각 기계는 힘의 크기를 증폭하거나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이상적인 단순 기계는 에너지 손실 없이 작동하며, 복합 기계는 여러 단순 기계를 결합하여 더 큰 힘을 얻을 수 있다. 현대 기계 이론에서는 기계를 구동 장치와 기구의 시스템으로 분석하며, 자체 고정 기계는 마찰력으로 인해 입력이 없으면 움직이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순 기계 - 나사
    나사는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못을 이용하여 두 물체를 결합하는 기계 요소로, 배관 연결 및 동력 전달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미터 나사, 유니파이 나사 등 다양한 종류와 KS, ISO 등의 규격이 존재하고, 나사 곡선, 리드, 피치 등의 주요 용어를 가진다.
  • 단순 기계 - 지레
    지레는 받침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막대를 사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얻거나 힘의 방향을 바꾸는 장치로, 받침점, 힘점, 작용점 위치에 따라 1종, 2종, 3종으로 나뉘며, 일상생활 도구와 인체, 투석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단순 기계
지도
개요
정의힘의 방향이나 크기를 바꾸는 기계 장치
목적힘을 가하는 데 편의를 더하거나 효율을 높이는 것
종류
기본지레
바퀴와 축
도르래
경사면
쐐기
나사
역사
기원고대부터 사용
사용 예이집트 피라미드 건축
고대 그리스의 기계류
특징
구성 요소단순한 구조
움직이는 부품이 적거나 없음
힘의 변환입력된 힘의 방향을 변경
입력된 힘의 크기를 변경 (이득 또는 손실)
에너지 보존에너지를 생성하지 않고, 전달하거나 변환
효율성마찰 등의 이유로 100% 효율은 어려움
복합 기계
정의두 개 이상의 단순 기계의 조합
예시자전거
시계
자동차
응용
일상생활가위
병따개
도끼
산업크레인
컨베이어 벨트
공작 기계
기술 분야기계 공학
건축 공학
로봇 공학
기타
참고 자료후쿠다 미노루, "농업 기계화의 경제적 의의에 관한 연구" (오카야마 대학교 연구 자료)

2. 역사

단순 기계의 개념은 기원전 3세기경 아르키메데스레버, 도르래, 나사 등을 연구하면서 시작되었다.[2][13] 그는 레버에서 기계적 이점의 원리를 발견했다.[14] "내가 딛고 설 자리를 주면 지구라도 움직이겠다"(δῶς μοι πᾶ στῶ καὶ τὰν γᾶν κινάσωel)[15]라는 아르키메데스의 말은 기계적 이점을 이용하면 힘의 증폭에 제한이 없다는 그의 깨달음을 보여준다. 후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경사면을 제외한 고전적인 5가지 단순 기계 (레버, 윈드러스, 도르래, 쐐기, 나사)를 정의하고 이들의 기계적 이점을 계산할 수 있었다.[7] 알렉산드리아의 헤론(–75년)은 그의 저서 「기계학」에서 "하중을 움직이게 하는" 다섯 가지 장치를 열거하고[13] 이들의 제작과 용도를 설명했다.[16] 그러나 그리스인들의 이해는 정역학(힘의 균형)에 국한되었고, 역학이나 힘과 거리 사이의 상호작용, 일의 개념은 포함되지 않았다.

르네상스 시대에 단순 기계를 뜻하는 "기계적 동력"의 역학은 그들이 가할 수 있는 힘뿐만 아니라 하중을 얼마나 들어 올릴 수 있는지의 관점에서 연구되기 시작했고, 결국 기계적 일의 새로운 개념으로 이어졌다. 1586년 플랑드르의 기술자인 시몬 스테빈은 경사면의 기계적 이점을 유도했고, 이는 다른 단순 기계들과 함께 포함되었다. 단순 기계의 완전한 역학 이론은 1600년 이탈리아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Le Meccaniche》(「기계학」)에서 제시했는데, 그는 기계들이 힘 증폭기로서 근본적으로 수학적으로 유사함을 보여주었다.[17][18] 그는 단순 기계가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변환시킨다는 것을 최초로 설명했다.[17]

기계에서의 고전적인 미끄럼 마찰 법칙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 (1452–1519)가 발견했지만, 발표되지 않고 그의 노트에 기록되었으며, 마찰이 에테르 유체라고 믿는 등 뉴턴 이전 과학에 기반을 두었다. 이 법칙은 기욤 아몽통 (1699)에 의해 재발견되었고 샤를-오귀스탱 드 쿨롱 (1785)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19]

3. 종류

채임버스의 사이클로피디아에 나오는 단순기계들. 이들은 더 복잡한 기계를 이해하는 바탕이 된다.


단순 기계는 선사시대부터 인류가 이용해온 도구들이다. 한국의 고대 유물인 고인돌을 만들 때에도 모든 종류의 단순 기계를 사용하였다. 현대에도 물리적인 힘을 전달하는 장치의 기본적인 원리는 단순 기계와 같다.

단순 기계 목록은 다소 임의적이다. 핵심 개념은 힘을 조작하는 모든 메커니즘은 목록상의 장치들의 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고전적인 여섯 가지 단순 기계 목록에 제안된 몇 가지 변형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일부는 쐐기가 움직이는 경사면이기 때문에 단순 기계 목록에서 쐐기를 제외한다.[2]
  • 나사는 나선형 경사면이므로[20] 때때로 제외되기도 한다.[21]
  • 도르래와 바퀴축은 지레의 독특한 형태로 볼 수 있다는 주장이 있어, 다른 모든 기계를 유도할 수 있는 단순 기계로 지레와 경사면만 남게 된다.[22][23][24][25]
  • 유압 시스템 또한 힘의 증폭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일부는 목록에 추가되어야 한다고 말한다.[24][26][27]


대표적인 단순 기계
종류
지레
빗면
도르래
축바퀴
나사
쐐기



헤론은 "힘을 증폭시키거나, 힘의 방향을 바꾸는" 가장 기본적인 장치로 5가지(나사, 쐐기, 지레, 도르래, 축바퀴)를 정의하였으며, 단순 기계의 명칭도 그에게서 유래한다. 단순 기계는 기계공학 용어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지만, 오히려 물리학이나 역학 분야의 용어이다.

3. 1. 지레

지레는 막대를 이용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물체를 옮기거나 다루기 위해 사용한다. 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쓰이며 힘점, 받침점, 작용점의 위치에 따라 세 종류의 지레로 구분한다. 병따개는 지레의 대표적인 예이다.[1]

3. 2. 빗면

빗면은 경사진 평면으로, 무거운 물체를 위로 올리는 데 사용된다. 빗면을 이용하면 힘이 분산되어 더 적은 힘으로 물체를 올릴 수 있지만, 힘이 줄어드는 만큼 이동 거리가 늘어난다.

헤론은 빗면을 "힘을 증폭시키거나, 힘의 방향을 바꾸는" 기본적인 장치 중 하나로 정의했다. μηχανή|메카네grc는 "물건을 움직이는 도구"라는 뜻으로, 영어 'machine'의 어원이다.

크레인이 없던 고대에는 흙을 쌓아 빗면을 만들고, 도르래, 지렛대 등을 이용하여 무거운 물건을 높은 곳으로 운반했다. 빗면은 수직으로 들어 올리는 것보다 훨씬 작은 힘으로 물건을 운반할 수 있게 해 주었기 때문에 고대 토목 공사에서 매우 중요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빗면을 이용해 중력과 운동 역학 실험을 했다. 당시에는 고속 카메라가 없었기 때문에 자유 낙하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웠다. 갈릴레이는 빗면에서 물체를 굴려 낙하 속도를 늦추고,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자유 낙하 법칙을 연구했다.

현대에는 빗면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용도로는 잘 쓰이지 않지만, 구배라는 용어로 도로 설계나 관개수로, 하수 등의 수리 시설 설계에 중요하게 활용된다.

3. 3. 도르래

도르래는 홈이 파인 바퀴에 끈을 연결하여 물체를 다루는 도구이다. 축을 고정시킨 고정 도르래와 축이 움직이는 움직 도르래가 있다.

3. 4. 축바퀴

축바퀴는 축이 달린 바퀴를 이용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물체를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문의 돌리는 손잡이가 대표적인 예이다. 과학적 원리는 지레와 같다.[1]

3. 5. 나사

나사는 빗면을 원통 둘레에 감아 놓은 형태의 도구이다. 물체를 단단히 고정하거나 정밀한 움직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1] 아르키메데스가 발명했다고 알려진 나선형 펌프는 나사의 원리를 이용한 장치로,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매우 효율적이고 고장이 잘 나지 않아 고대 사회에서 획기적인 기술로 여겨졌다.[1] 헤론은 이 나선형 펌프를 염두에 두고 나사를 단순 기계에 추가했다고 알려져 있다.[1]

3. 6. 쐐기

쐐기는 양쪽에 빗면이 있는 도구이다. 물체를 고정하거나 적은 힘으로 단단한 물체를 깨뜨리는 일에 쓰인다. 쐐기를 이용한 생활 도구로는 지퍼를 들 수 있다.

4. 이상적인 단순 기계

단순 기계가 마찰, 마모 또는 변형을 통해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는다면 에너지는 보존되며, 이를 이상적인 단순 기계라고 부른다. 이 경우 기계에 입력되는 동력은 출력되는 동력과 같으며, 기계적 이점은 기하학적 치수로 계산할 수 있다.[28]

각 기계는 기계적으로 다르게 작동하지만 수학적으로는 작동 방식이 유사하다.[29] 각 기계에서 힘 F_\text{in}은 한 지점에 가해지며, 다른 지점에서 하중 F_\text{out}을 이동시키는 일을 한다.[29] 도르래와 같이 일부 기계는 힘의 방향만 바꾸지만, 대부분의 기계는 힘의 크기를 기계적 이점이라는 계수만큼 증폭한다.

:\mathrm{MA} = {F_\text{out} \over F_\text{in}}

이는 기계의 기하학적 구조와 마찰로 계산할 수 있다.

단순 기계는 에너지원을 포함하지 않으므로,[30] 입력 힘으로부터 받는 것보다 더 많은 일을 할 수 없다.[29] 마찰이나 탄성이 없는 단순 기계를 '이상적인 기계'라고 한다.[31][32][33]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이상적인 단순 기계에서 임의의 시간 P_\text{out}의 출력(에너지 출력률)은 입력 P_\text{in}과 같다.

:P_\text{out} = P_\text{in}\!

출력은 하중의 속도 v_\text{out}\,에 하중 힘 P_\text{out} = F_\text{out} v_\text{out}\,을 곱한 것과 같다. 마찬가지로 가해진 힘으로부터의 입력은 입력 지점의 속도 v_\text{in}\,에 가해진 힘 P_\text{in} = F_\text{in} v_\text{in}\!을 곱한 것과 같다. 따라서,

:F_\text{out}v_\text{out} = F_\text{in}v_\text{in}\,

따라서 이상적인 기계의 기계적 이점 \mathrm{MA}_\text{ideal}\,은 입력 속도와 출력 속도의 비인 '속도비'와 같다.

:\mathrm{MA}_\text{ideal} = {F_\text{out} \over F_\text{in}} = {v_\text{in} \over v_\text{out}}\,

'속도비'는 주어진 기간 동안 이동한 거리의 비율과도 같다.[34][35][36]

:{v_\text{out} \over v_\text{in}} = {d_\text{out} \over d_\text{in}}

따라서 이상적인 기계의 기계적 이점은 입력 거리와 출력 거리의 비인 '거리비'와도 같다.

:\mathrm{MA}_\text{ideal} = {F_\text{out} \over F_\text{in}} = {d_\text{in} \over d_\text{out}}\,

이는 기계의 기하학적 구조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렛대의 기계적 이점과 거리비는 지레팔의 비율과 같다.

기계적 이점은 1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 \mathrm{MA} > 1\,이면 출력력이 입력력보다 크고, 기계는 힘 증폭기 역할을 하지만 하중이 이동한 거리 d_\text{out}는 입력력이 이동한 거리 d_\text{in}\,보다 작다.
  • \mathrm{MA} < 1\,이면 출력력이 입력력보다 작지만, 하중이 이동한 거리는 입력력이 이동한 거리보다 크다.


회전 운동을 사용하는 나사에서는 입력력을 토크로, 속도를 각속도로 대체해야 한다.

5. 복합 기계

복합 기계는 여러 개의 단순 기계를 직렬로 연결하여 만든 기계로, 한 기계의 출력이 다음 기계의 입력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벤치 바이스나사와 직렬로 연결된 지레(바이스 손잡이)로 구성되며, 간단한 기어 트레인은 여러 개의 기어(바퀴)가 직렬로 연결된 것이다.

복합 기계의 기계적 이점은 마지막 기계의 출력 힘을 첫 번째 기계의 입력 힘으로 나눈 값이다.

:\mathrm{MA}_\text{compound} = {F_{\text{out}N} \over F_\text{in1}}

각 기계의 출력 힘이 다음 기계의 입력 힘이 되므로, F_\text{out1} = F_\text{in2}, \; F_\text{out2} = F_\text{in3},\, \ldots \; F_{\text{out}K} = F_{\text{in}K+1} 이고, 기계적 이점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athrm{MA}_\text{compound} = {F_\text{out1} \over F_\text{in1}} {F_\text{out2} \over F_\text{in2}} {F_\text{out3} \over F_\text{in3}}\ldots {F_{\text{out}N} \over F_{\text{in}N}} \,

따라서 복합 기계의 기계적 이점은 각 단순 기계의 기계적 이점을 모두 곱한 값과 같다.

:\mathrm{MA}_\text{compound} = \mathrm{MA}_1 \mathrm{MA}_2 \ldots \mathrm{MA}_N

마찬가지로, 복합 기계의 효율 또한 각 단순 기계의 효율을 모두 곱한 값과 같다.

:\eta_\text{compound} = \eta_1 \eta_2 \ldots \; \eta_N.

6. 현대 기계 이론

기계는 힘과 움직임을 전달하는 구동장치와 기구로 구성된 기계 시스템으로 연구되며, 센서와 제어기로 모니터링된다. 구동장치와 기구의 구성 요소는 운동 사슬을 형성하는 링크와 조인트로 구성된다.

1876년 기계 운동학(Kinematics of Machinery)에서 발췌한 4절 링크 그림


단순 기계는 증기 기관부터 로봇 매니퓰레이터까지 다양한 기계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는 운동 사슬의 기본적인 예이다. 레버의 지점을 형성하고 바퀴와 축 및 도르래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은 운동쌍의 예인 경첩 조인트이다. 마찬가지로, 경사면과 쐐기의 평평한 표면은 슬라이딩 조인트라는 운동쌍의 예이다. 나사는 일반적으로 나선형 조인트라는 자체 운동쌍으로 식별된다.

두 개의 레버 또는 크랭크는 한 크랭크의 출력을 다른 크랭크의 입력에 연결하는 링크를 부착하여 평면 4절 링크로 결합된다. 추가 링크를 부착하여 6절 링크를 형성하거나 직렬로 연결하여 로봇을 형성할 수 있다.[32]

단순 기계의 분류는 새로운 기계를 발명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에 대한 요구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단순 기계들이 결합하여 더 복잡한 기계를 만드는 방법이 중요한 관심사였다. 한 가지 방법은 단순 기계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복합 기계를 얻는 것이다.

프란츠 뢸로는 800개가 넘는 기본 기계들을 수집하고 연구하면서 더 성공적인 전략을 확인했다. 그는 지레, 도르래, 그리고 바퀴와 축이 본질적으로 같은 장치, 즉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물체라는 것을 깨달았다. 마찬가지로, 경사면, 쐐기, 나사는 평평한 표면 위에서 미끄러지는 블록이다.[40]

이러한 깨달음은 기계의 주요 요소가 관절 또는 움직임을 제공하는 연결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회전 관절, 프리즘 관절/슬라이딩 관절, 캠 조인트, 기어 조인트와 같은 네 가지 유형의 관절과 케이블 및 벨트와 같은 관련 연결을 시작으로, 기계를 이러한 관절을 연결하는 고체 부품의 조립체로 이해할 수 있다.[32]

필요한 움직임과 힘 전달을 수행하는 기구의 설계는 기구학적 종합설계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링키지, 캠 및 추종자 기구 및 기어 및 기어 트레인의 기계 설계를 위한 기하학적 기법들의 집합이다.

7. 한국의 관점

고인돌은 한국의 고대 유물로, 선사시대부터 단순 기계가 활용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거대한 돌을 운반하고 쌓는 과정에서 빗면, 지레, 도르래 등의 원리가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8. 자체 고정 기계

많은 단순 기계에서, 기계에 작용하는 하중력이 입력력에 비해 충분히 크면, 기계는 하중력이 입력력에 일을 하는 상태로 역방향으로 움직인다.[37] 이러한 기계를 '가역적', '비고정식', '오버홀링' 기계라고 하며, 역방향 운동을 '오버홀링'이라고 한다.

그러나 일부 기계의 경우, 마찰력이 충분히 크면, 입력력이 0이더라도 어떤 양의 하중력도 기계를 역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다. 이를 '자체 고정식', '비가역적', '비오버홀링' 기계라고 한다.[37] 이러한 기계는 입력 지점의 힘에 의해서만 작동될 수 있으며, 입력력이 제거되면 어떤 위치에 있든지 마찰에 의해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자체 고정은 주로 움직이는 부품 사이에 큰 접촉면이 있는 기계, 즉 나사, 빗면, 쐐기에서 주로 발생한다.


  • 가장 일반적인 예는 나사이다. 대부분의 나사에서 나사를 돌려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너트를 돌려 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지만, 나사나 너트를 아무리 밀어도 둘 중 어느 것도 회전하지 않는다.
  • 빗면에서, 옆으로 가하는 힘으로 하중을 빗면 위로 끌어올릴 수 있지만, 빗면이 너무 가파르지 않고 하중과 빗면 사이의 마찰이 충분하다면, 입력력이 제거되더라도 하중은 정지 상태를 유지하며 무게에 관계없이 빗면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는다.
  • 쐐기는 망치로 치는 것과 같은 끝에 힘을 가하여 나무토막에 박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측면이 갈라지지만, 나무 벽의 압축력으로는 나무토막에서 빠져나오지 않는다.


기계의 효율 \eta이 50% 미만일 경우에만 자체 고정된다.[37]

\eta \equiv \frac {F_\text{out}/F_\text{in} }{d_\text{in}/d_\text{out} } < 0.5

기계가 자체 고정되는지 여부는 부품 간의 마찰력(정지 마찰 계수)과 거리 비율 d_{\textrm{in}}/d_{\textrm{out}}(이상적인 기계적 이점) 모두에 따라 달라진다. 마찰과 이상적인 기계적 이점이 모두 충분히 높으면 자체 고정된다.

참조

[1] 논문 Mechanical sciences: engineering mechanics and strength of materials Prentice Hall of India
[2] 서적 Understanding Physics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3] 서적 Physics for Technical Students: Mechanics and Heat https://archive.org/[...] McGraw Hill 2008-05-11
[4] 백과사전 Mechanics https://books.google[...] John Donaldson 1773
[5] 서적 Academic Pres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1992
[6] 웹사이트 Compound machines http://galileo.phys.[...] University of Virginia Physics Department 2010-06-11
[7] 서적 A History of Mechanical Inventions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8] 논문 Foundations of cognitive support: Toward abstract patterns of usefulnes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8-05-21
[9] 문서 Basic machines http://www.construct[...] U.S. Navy Naval Education and Trai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Center, NAVEDTRA 14037
[10] 문서 Basic machines and how they work http://www.webpal.or[...] Dover Publications
[11] 논문 The kinematics of machinery (translated and annotated by A.B.W. Kennedy) reprinted by Dover
[12] 웹사이트 Reuleaux Collection of Mechanisms and Machines at Cornell University http://kmoddl.librar[...] Cornell University
[1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Project Management https://books.google[...] Eburon Academic Publishers
[14] 서적 Inquiry into Physics https://books.google[...] Thompson Brooks/Cole 2008-05-22
[15] 문서 Synagoge, Book VIII
[16] 논문 Evolution of design, use, and strength calculations of screw threads and threaded joints https://books.google[...] Kluwer Academic 2008-05-21
[17] 서적 Groundbreaking Experiments,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2008-05-21
[18] 서적 Wheels, clocks, and rockets: a history of technology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19] 서적 Control of machines with fric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 웹사이트 Simple Machine Elements http://cnx.org/conte[...]
[21] 서적 Physics with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Allyn & Bacom 2008-05-20
[22] 웹사이트 Simple machines, or are they? http://www.myetv.org[...] 2001 National Teacher Training Institute 2008-05-13
[23] 서적 Experimental General Science https://archive.org/[...] P. Blakiston's Son & Co. 2008-05-20
[24] 웹사이트 Mechanical Advantage and Simple Machines http://findarticles.[...] CNET 2008-05-21
[25] 서적 Schaum's Outline of Applied Physic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08-05-21
[26] 서적 Thinking with Objects:The Transformation of Mechanics in the 17th Century https://books.google[...] JHU Press
[27] 웹사이트 Mechanical Advantage – Simple Machines http://www.eduturca.[...] Eduturca 2008-05-21
[28] 문서 Le Meccaniche (On Mechanics)
[29] 서적 A Complete Course in Certificate Physics https://books.google[...] Pitambar
[30] 서적 Discover! Work & Machines https://books.google[...] Milliken
[31] 서적 Engineering Mechanics https://books.google[...] Firewall Media
[32] 논문 Theory of Machines and Mechanisms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Kinematics and Dynamics of Planar Machinery Prentice Hall
[34] 서적 Engineering Mechanics https://books.google[...] Universities Press 2005
[35] 서적 Engineering Mechanics https://books.google[...] PHI Learning 2011
[36] 서적 The World of Physics https://books.google[...] Nelson Thornes 2014
[37] 서적 Engineering Mechanics https://books.google[...] Firewall Media 2005
[38] 서적 Engineering Mechanics https://books.google[...] Universities Press 2005
[39] 서적 Engineering Mechanics https://books.google[...] PHI Learning Private Ltd. 2009
[40] 서적 Kinematic synthesis of linkages http://kmoddl.librar[...] McGraw-Hill 1964
[41] 웹사이트 農業機械化の経済的意義に関する研究 http://ousar.lib.oka[...] 岡山大学 2019-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